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ls 명령어를 하면 무슨일이 일어날까

by Justin입니다. 2025. 4. 2.

ls 명령어는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를 실행했을때는 무슨일이 일어날까?

 

1. 현재위치 확인

쉘은 PWD 환경 변수를 통해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위치를 관리하고 있다. ls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디렉토리에서 파일 목록을 조회하게 된다. 

2. 디렉토리 엔트리 조회

ls 명령어는 디스크에서 해당 디렉토리 엔트리를 가져온다. 디렉토리 엔트리는 파일 이름과 메타데이터가 저장된 inode번호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들어: 

파일 이름   | inode 번호
-------------------------
file1.txt   | 1234567
file2.txt   | 1234568
dir1        | 1234569

3. inode 테이블 조회

각 디렉토리 엔트리에는 해당 파일의 inode 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파일 시스템은 파일을 저장할 때 inode 테이블을 사용하여 파일 정보를 관리한다. 이 테이블은 파일시스템에 초기화될 때 설정되며, 슈퍼블록이라는 곳에 위치한다.

 

4. 디스크 블록 위치 조회

ls 명령어는 디렉토리 엔트리의 inode 번호를 바탕으로 inode 테이블을 조회하고, 해당 파일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디스크 블록의 위치를 확인한다.

 

 

ls -i  # inode 번호 확인
stat #inode 데이터 확인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ystemctl enable  (0) 2025.04.02
Redis Master/Slave + HAProxy  (0) 2025.03.18
Nginx SSL/TLS ssl_preread & stream  (1) 2025.03.17
Redis Failover  (0) 2025.03.13
Vmware 네트워크  (0) 2025.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