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를 이용하여 VM을 생성할 때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는 도구로 network와 NetworkManager가 있다.
network는 전통적인 네트워크 관리 도구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 파일을 수정하여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다. 반면, 최신 리눅스에서는 NetworkManager가 자동으로 활성화된다. 오늘 실습에서는 network를 사용해 보겠다.
## 네트워크 관리자 해제
systemctl stop NetworkManager
systemctl disable NetworkManager
dnf install network-scripts -y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160
# 원하는 아이피를 기입
ONBOOT=yes
NM_CONTROLLED=no
BOOTPROTO=none
IPADDR=192.168.63.100
PREFIX=24
GATEWAY=192.168.63.2
DNS1=192.168.63.2
DEVICE=ens160
TYPE=ethernet
IPV6INIT=no
systemctl restart network

SERVER A 에 가상브릿지를 생성해보자!
#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br0
DEVICE=br0 # bridge로 사용될 device의 network adapter 이름.
BOOTPROTO=none # 고정 IP.
ONBOOT=yes
TYPE=Bridge # network adpater는 bridge type.
USERCTL=no
IPV6INIT=no
STP=no
IPADDR=192.168.63.100
PREFIX=24
GATEWAY=192.168.63.2
NM_CONTROLLED=no
#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160
ONBOOT=yes
NM_CONTROLLED=no
BOOTPROTO=none
DEVICE=ens160
TYPE=ethernet
IPV6INIT=no
BROWSER_ONLY=no
BRIDGE=br0 # 이 network adapter를 기본으로 ifcfg-br0에 bridge 연결 시키겠다는 뜻.
ifcfg-br0의 PREFIX 가 32라면 서브넷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라우팅 테이블에 네트워크 주소범위가 추가되지 않는다.

master br0: ens160 인터페이스가 br0라는 가상 브릿지의 자식 인터페이스
inet 192.168.63.100/24: br0의 IPv4 주소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ystemctl enable (0) | 2025.04.02 |
---|---|
Redis Master/Slave + HAProxy (0) | 2025.03.18 |
Nginx SSL/TLS ssl_preread & stream (1) | 2025.03.17 |
Redis Failover (0) | 2025.03.13 |
inode (0) | 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