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크 추가 방법

2025. 6. 22. 17:40리눅스

Rocky Linux9에 1GB SCSI 방식의 디스크를 장착한 상태이다.

디스크 정보확인 명령어 = lsblk

sdb 가 장착됨

fdisk /dev/sdb # 파티션 생성 명령어

Command (m for help): n  # 새로운 파티션 분할
Select (default p): p    # Primary 파티션 선택
Partition number (1-4, default 1): 1   # 파티션 번호 선택(Primary 파티션은 최대 4개까지 생성 가능)
First sector: Enter      # 시작 섹터 번호 입력(1개의 파티션만 계획 중이므로 첫 섹터로 설정)
Last sector: Enter       # 마지막 섹터 번호 입력(1개의 파티션만 계획 중이므로 마지막 섹터로 설정)
Command (m for help): p  # 설정된 내용 확인


Disk /dev/sdb: 1 GiB, 1073741824 bytes, 2097152 sectors
Disk model: VMware Virtual S
Units: sectors of 1 * 512 = 512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label type: dos
Disk identifier: 0xe3b38f8e

Device     Boot Start     End Sectors  Size Id Type
/dev/sdb1        2048 2097151 2095104 1023M 83 Linux

Command (m for help): w  # 설정 저장

The partition table has been altered.
Calling ioctl() to re-read partition table.
Syncing disks.

실습 화면

 

Rocky Linux에서는 섹터 하나의 크기가 512바이트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1024MB(1GB)의 섹터 수는 512 X 2097512 = 1024MB  즉 2097152개 이다. 그리고 시작 섹터가 2048번인 이유는 제일 앞의 1MB부분은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해 샤용하지 않는 부분이다. 또한 Blocks의 단위는 1KB(1024바이트)로 설정되어 있다.

 

디스크를 처음 장착하면 그냥 기계일 뿐이다. 그래서 디스크를 사용하려면 먼저 파티션을 설정해야 한다. 만약 디스크를 통째로 하나의 파티션으로 사용하려면 1개의 파티션을 설정하면되고, 2개로 나눠서 사용하려면 2개의 파티션을 설정하면 된다.

 

파티션 종류는 Primary파티션과 Extended 파티션, 2가지가 있는데 1개의 디스크에 총 4개의 Primary파티션을 설정할 수 있다. 만약 파티션을 5개 이상 설정하고 싶다면 3개의 Primary 파티션과 1개의 Extended 파티션으로 설정한 후 Extended 파티션을 2개 이상의 Logical 파티션을 ㅗ설정해야 한다.

 

할당된 파티션 장치의 이름은 /dev/sdb1 으로 지정된다. mkfs -t 파일시스템 파티션장치 명령을 입력하거나 간단하게 mkfs.파일시스템 파티션장치 명령을 입력해 파일시스템을 ext4 형식으로 생성한다.

 

/dev/sdb1 파일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디렉터리에 마운트한다. /mkdata 폴더를 생성하고

mount /dev/sdb1 /mydata를 입력해 /dev/sdb1 장치를 /mydata 디렉터리에 마운트한다. 이때 /mydata 디렉터리 안에는 

lost_fount 라는 디렉터리가 저장되는데 fsck 등의 명령으로 파일시스템을 점검할 때 생성되는 파일을 저장하는 곳이다.

마운트 여부 확인 명령어 = df -h

 

/etc/fstab 파일을 열어 가장 아랫부분에 다음 내용을 추가

/dev/sdb1 /mydata ext4 defaults 0 0

/etc/fstab 파일을 리눅스가 부팅될 때 자동으로 읽는 파일이다. 이 파일에는 마운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글자가 틀릴경우 아예 부팅이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수정 시 주의가 필요하다. 6개의 필드는 장치이름, 마운트될 디렉터리, 파일시스템, 속성, dump 사용 여부, 파일시스템 체크 여부를 의미한다. 파일시스템과 속성을 defaults 로 설정하면 읽기/쓰기/실행 등의 대부분 작업이 가능하다. dump 사용 여부를 1로 설정하면 리눅스 dumpt 명령을 이용한 백업이 가능하다. 파일시스템 시스템 체크 여부를 1또는 2로 설정하면 부팅 시에 이 파티션을 체크하는데 1인 파일시스템을 먼저 체크하고, 2는 1을 체크한 후에 체크한다. 일반적으로 / 파일시스템을 1로 설정하고 이외에는 2로 설정하거나 별로 중요하지 않다면 0으로 설정한다. 0으로 설정하면 파일 시스템 체크를 생략하므로 부팅 속도가 향상된다.

 

/etc/fstab 파일을 수정한 후 reboot명령을 입력해 재부팅하고 df -h로 마운트 여부를 확인해 볼수있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자별 quota  (1) 2025.06.29
RAID의 정의와 개념  (1) 2025.06.22
Kernel compile  (0) 2025.06.21
root 비밀번호를 잃어버렸다면 ?  (0) 2025.06.21
NetworkManager  (0) 2025.06.21